영어 문법

영어 동사 뒤에 오는 보충어 완전 정리: 목적어·보어·전치사구 차이 쉽게 이해하기

Kay Jay 2025. 3. 24. 09:23

동사 보충어(complementation)는 영어 문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동사는 문장의 중심이지만, 실질적으로 동사 뒤에 어떤 요소가 따라오느냐에 따라 문장 구조와 의미가 확연하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저 역시 영어를 공부하면서, “동사가 무엇을 필요로 하고, 어떤 형태로 문장을 완성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해석과 작문에서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구나”라는 사실을 깨닫게 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동사 뒤에 오는 목적어(Objects)와 보어(Complements)―즉, 동사 보충어 구조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살펴보려고 합니다.


1. 동사 뒤에 오는 보충어의 중요성

영어 문장에서 동사는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핵심 요소입니다. 하지만 동사 하나만으로 완전한 의미를 전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I run”처럼 간단히 끝날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 동사 뒤에 목적어 혹은 보어 같은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I eat an apple”에서 “eat”은 동사이고 “an apple”은 목적어로서 동사의 행동이 향하는 대상을 보여줍니다. 반면 “I am happy”에서는 “am”이 상태동사(연결동사)로 쓰이며, 뒤에 오는 “happy”는 보어로서 ‘나의 상태가 행복하다’라는 의미를 완성해줍니다.


2. 타동사와 자동사의 구분

동사 뒤에 보충어가 오는 방식은 먼저 해당 동사가 타동사(transitive verb)인지 자동사(intransitive verb)인지에 따라 나뉩니다.

 

1) 타동사(Transitive Verb)

  • 정의: 행동이 목적어로 직접 향하는 동사
  • 특징: 뒤에 목적어가 반드시 필요
  • 예시: “She reads a book.” 여기서 “reads”는 타동사이며, 목적어 “a book”이 ‘무엇을 읽는지’를 밝혀 줍니다.

2) 자동사(Intransitive Verb)

  • 정의: 행동이 목적어 없이 스스로 완결되는 동사
  • 특징: 뒤에 목적어가 오지 않으며, 부사구나 전치사구 등으로 의미를 보충하는 경우가 많음
  • 예시: “He runs quickly.” 여기서 “runs”는 자동사로, 목적어가 없어도 문장 의미가 완결됩니다.

이처럼 동사의 성격을 파악해야 문장에서 목적어가 필요한지, 아니면 부사나 전치사구로 충분한지 알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일부 동사는 문맥에 따라 자동사로도, 타동사로도 쓰인다는 사실입니다. 예컨대 “run”은 “He runs every day”처럼 자동사로 쓰일 수 있지만, “He runs a small shop”에서는 타동사처럼 쓰여 목적어가 필요합니다.


3. 목적어(Objects)의 유형

동사가 목적어를 필요로 할 때, 그 목적어가 문장의 큰 골격을 형성하게 됩니다. 영어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의 목적어가 존재합니다.

3.1 직접목적어(Direct Object)

  • 정의: 동사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받는 대상
  • 예시: “They baked a cake.” → “a cake”가 직접목적어로, ‘무엇을 구웠는지’를 나타냅니다.

직접목적어는 문장 속에서 ‘누가 무엇을 하느냐’의 핵심을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3.2 간접목적어(Indirect Object)

  • 정의: 동사의 행동이 향하는 ‘사람(또는 대상)’을 의미하며, ‘누구에게 ~을 해주느냐’를 표현
  • 예시: “She sent me a letter.” → “a letter”는 직접목적어이고, “me”는 간접목적어입니다.
  • 주의: 간접목적어가 주로 사람이지만, 상황에 따라 사물이 될 수도 있습니다(“He gave the wall a new color.”).

영어 문장에서 간접목적어는 대체로 직접목적어보다 먼저 위치하지만, 전치사 to나 for를 사용해 “She sent a letter to me”처럼 뒤로 배치하기도 합니다. 이때 의미 변화는 없지만, 문장 리듬이나 강조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보어(Complements) ― 동사 보충어

동사 뒤에는 목적어뿐만 아니라 보어가 따라올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보어는 문장의 필수요소가 될 수도 있으며, 주어 혹은 목적어를 보충 설명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어가 들어가는 문장은 연결동사나 특정 동사가 쓰이는 패턴을 나타내는데, 이를 동사 보충어라고도 칭할 수 있습니다.

4.1 주격보어(Subject Complement)

  • 정의: 주어(Subject)를 설명하거나 정체성을 밝혀주는 보어
  • 주요동사: be, become, remain, seem, appear, look(상태동사로 쓰일 때) 등
  • 예시: “He is a doctor.”에서 “a doctor”는 주격보어로서, 주어 “He”가 어떤 사람인지(직업, 정체)를 밝혀줍니다.
  • 형용사 보어: “He is smart.”에서는 “smart”가 주격보어로, 주어가 ‘어떤 상태인지’를 형용사로 나타냅니다.

주격보어는 주어와 동일 인물(또는 동일 개념)을 설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결동사는 두 요소를 이어주면서, 주어가 어떤 상태 혹은 누구인지를 명확히 해줍니다.

4.2 목적격보어(Object Complement)

  • 정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거나 목적어를 특정 상태로 만들거나 규정하는 역할
  • 예시: “They elected him president.”에서 “president”는 목적격보어로서 목적어 “him”이 어떤 지위나 역할을 갖게 되었는지 알려줍니다.
  • 특징: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가 하나의 구조로 묶이면서, ‘목적어가 어떤 상태가 되도록 만들다’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목적격보어는 문장 속에서 목적어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고, 동사가 특정 동작이나 변화를 일으켜 목적어가 그러한 상태에 놓이도록 함을 강조합니다. “She makes me happy.”에서는 “happy”가 목적격보어로, ‘나를 행복한 상태로 만든다’는 의미입니다.


5. 부사구와 전치사구

동사 뒤에 목적어와 보어가 오는 것만이 전부가 아닙니다.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하기 위해 부사구(adverbial phrase)나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를 덧붙이기도 합니다.

  • 부사구 예시: “He works diligently in the morning.” → 부사구 “in the morning”이 시점을 나타냅니다.
  • 전치사구 예시: “We arrived at the station.” → 자동사 “arrived” 뒤에 전치사구 “at the station”이 붙어, 동사가 향하는 위치(장소)를 구체화합니다.

이들은 보어와는 달리 문장의 필수 요소라기보다는, 부연 설명이나 문장 분위기를 풍성하게 만드는 부수적 역할을 수행합니다.


6. 목적어와 보어를 구분하는 요령

동사 뒤에 오는 것이 목적어인지, 아니면 보어인지 헷갈릴 때 간단한 요령을 떠올리면 도움이 됩니다.

 

1) 타동사 여부 파악

  • 타동사라면 목적어가 필요합니다.
  • “He wrote a poem.”에서 “a poem”은 동작(write)이 미치는 대상이므로 목적어입니다.

2) 연결동사인지 확인

  • be, become, remain, seem, appear, look(상태) 등은 보어를 취합니다.
  • “He became a teacher.”에서 “a teacher”는 주격보어가 됩니다.

3) 주어와 보어가 동일한 대상인지

  • “He is my friend.”에서 주어(He)와 보어(my friend)는 동일 인물을 말합니다. → 주격보어

4) 목적어와 보어가 동일한 대상인지

  • “They named the baby Lucy.”에서 목적어(the baby)와 보어(Lucy)는 동일 인물입니다. → 목적격보어

7. 다양한 동사 보충어 구조 예문

아래에 동사 뒤에 올 수 있는 다양한 보충어 구조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표로 정리했습니다.

문장 예시 구조 분석
I eat apples.
  • 주어(I) + 동사(eat) + 직접목적어(apples)
She gave me a gift.
  • 주어(She) + 동사(gave) + 간접목적어(me) + 직접목적어(a gift)
He is brave.
  • 주어(He) + 연결동사(is) + 주격보어(brave)
They elected her captain.
  • 주어(They) + 동사(elected) + 목적어(her) + 목적격보어(captain)
We arrived at the station.
  • 주어(We) + 자동사(arrived) + 전치사구(at the station)

 

이처럼 목적어, 보어, 부사구, 전치사구 등은 모두 동사 뒤에 이어질 수 있지만, 그 기능과 문장 구조에서의 지위는 각기 다릅니다. 이를 명확히 이해하면 복잡한 문장도 쉽게 분석하고, 직접 작문할 때도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8. 의미와 문맥에 따른 동사 쓰임

같은 동사라도 문맥에 따라 자동사로 쓰이기도, 타동사로 쓰이기도 하며, 연결동사처럼 쓰여 주격보어를 취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He looks happy.”에서는 “look”이 연결동사처럼 쓰여 주격보어 “happy”를 취합니다. 반면 “He looks at the painting.”에서는 “look”이 동작동사가 되어 전치사 “at”과 목적어 “the painting”을 취하게 됩니다.


이런 변화는 영어 학습에서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동사마다 어떠한 패턴으로 쓰이는지, 대표 예문을 익혀두면 문장을 이해하거나 작성할 때 훨씬 수월합니다.


9. 동사 보충어 학습 팁

1) 사전을 활용한 동사 성격 파악

  • 많은 사전에서 동사 옆에 [T,타동사]혹은 [I,자동사] 표시를 제공합니다. 이 정보를 확인하면서 동사를 외우면 큰 도움이 됩니다.

2) 대표 예문 중심 학습

  • 특정 동사를 학습할 때, 그 동사가 타동사로서 어떤 목적어를 취하고, 자동사로 쓰일 때는 어떤 구조를 형성하는지 예문을 통해 익혀두면 좋습니다.

3) 연결동사 목록 정리

  • be, become, remain, seem, appear, look(상태), taste(상태), sound(상태) 등은 보어를 취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들을 묶어서 기억하면 여러 문장을 만들 때 유용합니다.

4) 목적격보어를 자주 요구하는 동사

  • call, name, elect, make, keep, find 등은 목적격보어를 뒤따라오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문을 여러 번 접하고 스스로 문장을 만들어 보며 익혀두면 좋습니다.

5) 맥락 중심 이해

  • 한 동사라도 문맥에 따라 쓰임새가 달라집니다. 자동사인지 타동사인지, 연결동사처럼 쓰이는지 등을 예문과 함께 익혀야 오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10. 직접 연습해보기

마무리하기 전에, 간단한 연습 예문을 통해 동사 뒤에 오는 보충어를 구분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 예문들을 직접 분석해 보세요.

  1. “I made my friend happy.”
  2. “The flowers smell wonderful.”
  3. “He told his mother the news.”
  4. “We stayed calm despite the chaos.”
  5. “She showed me her new painting.”

각 문장에서 동사 뒤의 요소를 찾아보며, 어떤 것이 직접목적어인지, 간접목적어인지, 주격보어인지, 목적격보어인지 등을 확인해보면 좋습니다. 예컨대 1번 문장에서 “my friend”는 목적어이고, “happy”는 목적격보어가 됩니다.


맺음말

영어에서 동사는 문장의 중심이지만, 사실 동사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동사 뒤에 따라오는 보충어(목적어, 보어 등)입니다. 이 보충어가 있느냐 없느냐, 혹은 어떤 형태이냐에 따라 문장 전체의 구조와 의미가 달라집니다.


저는 동사 보충어 개념을 명확히 익히면서 긴 문장도 더 쉽게 분석하고 작성할 수 있게 됐습니다. 문장을 접할 때마다 “이 동사는 목적어가 필요한가? 아니면 보어가 필요한가?” 혹은 “연결동사라 주격보어를 취하고 있는가?” 등을 따져보면, 해석이 한결 명쾌해집니다.


여러분도 동사 보충어 개념을 확실하게 정리해두시면, 영어 문장의 뼈대를 더욱 탄탄하게 grasp할 수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다양한 예문과 연습을 통해 익숙해지신다면, 독해와 작문 실력이 눈에 띄게 향상될 거라고 확신합니다.